반응형
1. 장염이란 무엇일까?
장염(腸炎, Gastroenteritis)은 위와 장에 염증이 생겨 설사·구토·복통·발열 등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해요. 흔히 ‘배탈’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증상이 심하면 입원 치료가 필요할 만큼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장염에 걸리는 주요 원인들
2-1. 감염성 원인
- 바이러스 감염
-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 겨울철·초봄에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대표적
- 작은 바이러스 입자만으로도 전파가 쉬워, 집단생활(어린이집·학교·병원 등)에서 대유행하기도 해요.
- 세균 감염
- 살모넬라(Salmonella), 대장균(E. coli),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등이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범
- 오염된 음식(날달걀, 덜 익힌 고기·해산물), 상한 음식, 비위생적인 조리 환경이 원인이 됩니다.
- 기생충·원충 감염
-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 지아르디아(Giardia) 같은 미세 원충이 장 점막을 자극
- 주로 오염된 물이나 식수를 통해 감염됩니다.
2-2. 비감염성 원인
- 약물·화학물질
- 항생제·소염진통제(NSAIDs) 등 일부 약물은 장 점막을 자극해 염증 유발
- 살충제, 중금속 오염 물질 등이 식수를 통해 들어와도 유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 알레르기·식이요인
- 우유 속 유당에 민감한 ‘유당불내증’ 환자나 글루텐 과민증(셀리악병) 환자는 특정 음식 섭취 시 설사·복통이 생깁니다.
- 스트레스·면역력 저하
- 과도한 스트레스나 피로, 수면 부족은 면역력을 떨어뜨려 장내 세균 밸런스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 과민성 장증후군(IBS)처럼 장이 예민해진 상태라면 작은 자극에도 염증 반응이 생기기 쉽습니다.
3. 장염을 예방하려면?
- 손 씻기 습관화
- 외출 후, 식사 전후, 화장실 이용 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꼼꼼히!
- 안전한 음식 관리
- 육류·해산물은 충분히 익혀 먹고, 조리 도구·조리대는 자주 소독
- 냉장보관 시 5℃ 이하, 냉동보관 시 –18℃ 이하 유지하기
- 깨끗한 물 섭취
- 생수나 끓인 물을 마시고, 분수·계곡물 등 원수는 반드시 끓여서 사용
- 균형 잡힌 식사 & 적절한 휴식
- 신선한 채소·과일로 장내 유익균을 늘리고, 충분한 수분과 휴식으로 면역력 관리
- 증상 발생 시 빠른 대응
- 설사·구토가 심할 땐 전해질 음료로 탈수를 막고, 증상이 심하거나 2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 방문!
4. 마치며
장염은 한 번 걸리면 회복에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기기 쉽지만, 예방 수칙만 잘 지켜도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질환이에요. 특히 계절에 상관없이 식중독과 위생 관리가 중요한 만큼, 오늘 알려드린 간단한 수칙을 생활 속에서 꼭 실천해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건강한 장(腸)을 응원하며, 다음에도 유익한 건강 정보로 찾아올게요!
728x90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금치를 안전하게 즐기는 방법과 주의해야 할 사람들 (1) | 2025.04.18 |
---|---|
눈 건강을 지키는 슈퍼 채소 7선 (0) | 2025.04.18 |
바다의 싱싱함을 한층 돋워주는 깻잎의 매력 (0) | 2025.04.18 |
MSN 영양제 (0) | 2025.04.18 |
두뇌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아침식사 (0) | 2025.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