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장염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들

by 럭키하우스 2025. 4. 18.
반응형

 

1. 장염이란 무엇일까?

장염(腸炎, Gastroenteritis)은 위와 장에 염증이 생겨 설사·구토·복통·발열 등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해요. 흔히 ‘배탈’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증상이 심하면 입원 치료가 필요할 만큼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장염에 걸리는 주요 원인들

2-1. 감염성 원인

  • 바이러스 감염
    •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 겨울철·초봄에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대표적
    • 작은 바이러스 입자만으로도 전파가 쉬워, 집단생활(어린이집·학교·병원 등)에서 대유행하기도 해요.
  • 세균 감염
    • 살모넬라(Salmonella), 대장균(E. coli),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등이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범
    • 오염된 음식(날달걀, 덜 익힌 고기·해산물), 상한 음식, 비위생적인 조리 환경이 원인이 됩니다.
  • 기생충·원충 감염
    •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 지아르디아(Giardia) 같은 미세 원충이 장 점막을 자극
    • 주로 오염된 물이나 식수를 통해 감염됩니다.

2-2. 비감염성 원인

  • 약물·화학물질
    • 항생제·소염진통제(NSAIDs) 등 일부 약물은 장 점막을 자극해 염증 유발
    • 살충제, 중금속 오염 물질 등이 식수를 통해 들어와도 유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 알레르기·식이요인
    • 우유 속 유당에 민감한 ‘유당불내증’ 환자나 글루텐 과민증(셀리악병) 환자는 특정 음식 섭취 시 설사·복통이 생깁니다.
  • 스트레스·면역력 저하
    • 과도한 스트레스나 피로, 수면 부족은 면역력을 떨어뜨려 장내 세균 밸런스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 과민성 장증후군(IBS)처럼 장이 예민해진 상태라면 작은 자극에도 염증 반응이 생기기 쉽습니다.

3. 장염을 예방하려면?

  1. 손 씻기 습관화
    • 외출 후, 식사 전후, 화장실 이용 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꼼꼼히!
  2. 안전한 음식 관리
    • 육류·해산물은 충분히 익혀 먹고, 조리 도구·조리대는 자주 소독
    • 냉장보관 시 5℃ 이하, 냉동보관 시 –18℃ 이하 유지하기
  3. 깨끗한 물 섭취
    • 생수나 끓인 물을 마시고, 분수·계곡물 등 원수는 반드시 끓여서 사용
  4. 균형 잡힌 식사 & 적절한 휴식
    • 신선한 채소·과일로 장내 유익균을 늘리고, 충분한 수분과 휴식으로 면역력 관리
  5. 증상 발생 시 빠른 대응
    • 설사·구토가 심할 땐 전해질 음료로 탈수를 막고, 증상이 심하거나 2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 방문!

4. 마치며

장염은 한 번 걸리면 회복에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기기 쉽지만, 예방 수칙만 잘 지켜도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질환이에요. 특히 계절에 상관없이 식중독과 위생 관리가 중요한 만큼, 오늘 알려드린 간단한 수칙을 생활 속에서 꼭 실천해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건강한 장(腸)을 응원하며, 다음에도 유익한 건강 정보로 찾아올게요!

 

728x90
반응형

댓글